• 최종편집 2024-04-24(수)

위험직무 순직공무원 해당 여부

박범진 변호사의 법률가이드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0.19 22:0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박범진.jpg
박범진 변호사

 

[사건요지] 위험직무 순직공무원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2130600 판결)

[사례] 소방공무원인 망인이 화재진압 중 입은 부상을 수술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출혈이 생겨 급박한 상황에 이르러 동료의 수혈을 받았는데, 그 동료가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로서 간암 진단 후 사망하였고, 망인 역시 간염과 간암에 걸려 퇴직하였다가 자살한 사안에서 위 망인을 위험순직공무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건.

[대법원 판단] 공무원 재해보상법은 위험직무순직공무원 요건의 확대와 공무수행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공무원 재해보상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공무원 재해보상제도를 공무원연금법에서 분리한 것으로, 3조 제1항 제4호에서 생명과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를 수행하다가 재해를 입고 그 재해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한 공무원위험직무순직공무원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이 수행하는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작업은 재난재해 현장에서 생명과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이루어지는데 반해 위와 같은 직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연령과 직급에 비추어 그 공무원이 사망할 경우 유족이 받는 보상으로는 유족의 생활안정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에 따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생명 또는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직무를 수행하다가 사망한 공무원의 유족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여 순직공무원의 유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위험한 직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이 안심하고 직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6. 3. 24. 법률 제7907호로 위험직무 관련 순직공무원의 보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습니다. 이후 위험직무 관련 순직공무원의 보상에 관한 법률2009. 12. 31. 법률 제9905호로 개정된 공무원연금법에 의하여 폐지되고, 개정 공무원연금법에 의하여 위험직무종사 순직공무원의 보상범위를 확대하고 순직유족보상금의 인상을 통해 위험직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사기를 제고하며, 유족의 처우개선을 도모하는 내용으로 위험직무 관련 순직공무원에 대한 보상 제도를 규정하게 되었습니다(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1헌바169 전원재판부 결정 참조).

위험직무순직공무원의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입법목적과 개정경위를 고려해야 하는 바, 원심 및 대법원은 위 사안에서 망인이 화재진압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로 부상을 입은 후 수술과정, 감염, 간암 등의 발병, 사망의 일련의 경과에 비추어, 망인은 결국 화재진압 중 입은 이 사건 부상이 직접적인 주된 원인이 되어 사망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어 공무원 재해보상법상의 위험직무순직공무원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 자료제공 : 대한법률구조공단 서산출장소 (041-667-4054, 서산시 공림422, 현지빌딩 4, 전화법률상담 국번없이 132)

태그

전체댓글 0

  • 0316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위험직무 순직공무원 해당 여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