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4(화)

바위에서 핀 천년의 미소…그 미소가 여유롭구나

기획_ 충남관광 100선 서산 명소 돌아보기 5. 서산마애여래삼존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8.17 18:0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AKR20200908097400805_01_i_P4.jpg
▲국보 제84호 마애여래삼존상(磨崖如來三尊像)은 2.8미터의 거대한 불상으로 단정하고 유연하게 조각된 솜씨에서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중용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이들 불상의 미소는 빛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아침에는 밝고 평화로운 미소를, 저녁에는 은은하고 자비로운 미소를 볼 수 있어 ‘백제의 미소’로도 불린다.

 

말복이 지나서인지 이제는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바람이 시원한 느낌이다. 서산명소 돌아보기 다섯 번째 순서로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을 찾았다. 지난 13일 불타는 태양을 조금이라도 피하고자 이른 아침에 출발하려할 때 전화벨이 울린다. 한은희 기자다. 전날 산책에 나섰다가 뱀에 물려 함께 취재에 동행하지 못한다고 했다. 어쩔 수 없이 이번 취재는 노교람·박영화 기자와 함께 떠났다.

 

이른 아침인데도 마애여래삼존상 입구 용현계곡 물가에는 벌써 많은 피서객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다리를 건너자마자 경사도가 꽤나 높은 계단이 눈에 들어온다. 한 계단 두 계단. 겨우 몇 발자국 옮겼을 뿐인데 숨이 차오른다. “더 늙으면 이런 길도 못 다니겠지하는 맘으로 씩씩하게 오른다. 불이문을 지나 조금 더 올라가니 마애여래삼존상이 눈에 들어온다. 벌써 이마엔 굵은 땀이 송골송골 맺힌다. 그래도 우리 기자들은 참 잘 왔다며 서로를 격려한다.

드디어 마애여래삼존상을 만났다. “차갑고 단단한 바위 속에서도 이토록 여유로우면서도 너그러운 듯 따뜻한 미소를 머금을 수 있었을까?”를 생각하게 한다.

 

역사의 뒤안길에서 묵묵히 이곳을 지탱했을 천년의 미소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불과 62년 전이라고 전해진다. 그러니까 1959년 이전까지는 이곳 마을 사람들 외에는 마애여래삼존상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는 이야기다. 마애여래삼존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59년 미술사학자인 홍사준(1905~1980) 국립부여박물관장에 의해서다.

백제사 연구에 일생을 바쳤던 홍사준 관장은 당시 보원사지터에서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어 그곳에서 유물들을 조사하고 있었다. 홍 관장은 당시 마을사람들에게 다른 문화제에 대해서도 물었는데 나무를 하던 한 마을사람이 바위 벼랑에 웃고 있는 산신령이 조각되어 있다고 알려줬다. 그렇게 강댕이골 산속에 묻혀있던 마애여래삼존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에게서 전해져오는 마애여래삼존불에 얽힌 이야기도 있다. 웃고 있는 산신령(가운데)옆에 앉아있는 부인이 다리를 쪼개고 앉아 볼에 손을 대고 놀리자, 다른 쪽 부인이 약이 올라 손에 돌을 들어 던지려한다는 해학적인 형상이라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실소를 나오게도 한다.

 

마애여래삼존상을 바라볼 때, 중앙에 석가여래 입상을 기준으로 왼쪽에 제화갈라보살 입상, 오른쪽에 미륵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백제 후기의 마애불이다. 마애불은 자연 암벽에 선을 새겨 넣거나 도톰하게 솟아오르도록 다듬어 만든 불상을 말한다. 삼존불은 6~7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유행한 보편적 형식이지만 보주를 들고 있는 입상 보살과 반가보살이 함께 새겨진 것은 중국이나 일본, 고구려, 신라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형식이다.

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2.8미터의 거대한 불상으로, 단정하고 유연하게 조각된 솜씨에서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중용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는 서산시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문화가 태안반도를 거쳐 백제의 수도 부여로 가던 길목이었다. 6세기 당시 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하던 곳으로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이 그 증거로 제시되고 있다. 보통 백제의 불상은 균형미가 뛰어나고 단아한 느낌이 드는 귀족 성향의 불상과 온화하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는 서민적인 불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서민적인 불상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이다.

장쾌하고 넉넉한 미소를 머금은 석가여래 입상!, 따뜻하고 부드러운 미소를 간직한 제화갈라보살 입상!, 천진난만한 소년의 미소를 품은 미륵반가사유상! 백제 특유의 자비로움과 여유를 느끼게 해준다.

이들 불상의 미소는 빛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아침에는 밝고 평화로운 미소를, 저녁에는 은은하고 자비로운 미소를 볼 수 있다. 동동남 30, 동짓날 해 뜨는 방향으로 서 있어 햇볕을 풍부하게 받아들이고, 마애불이 새겨진 돌이 80도로 기울어져 있어 비바람이 정면으로 들이치지 않아 미학적 우수함은 물론 과학적 치밀함도 감탄을 자아낸다.

노교람·박영화 기자가 마애여래삼존상 앞을 오가며 사진촬영을 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인다. 한참을 기다리다 올라온 계단을 한 걸음씩 내디딘다. 내려가는 길은 그래도 수월하다. 그래도 혹시 몰라 발목에 힘을 준다. 계곡을 쳐다보니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다리를 물에 담가 마지막 더위를 식히고 있다.

취재를 마치며 우리는 명색이 국보인데 주차장이 없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입구에 약간의 공간이 있지만 음식점 전용이란다. 음식점만도 못한 국보 대우. 이것이 진정 서산관광의 현주소일까에 강한 의문이 들었다. =김명순 기자/사진=노교람·박영화 기자

 

마_1.jpg
▲백제의 미소로…노교람(가운데)기자가 석가여래 입상, 박영화(왼쪽) 기자가 제화갈라보살 입상, 김명순(오른쪽) 기자가 미륵반가사유상 위치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국보 제84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본존상 280, 보살입상 170, 반가상 166이다. 중앙의 본존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보주를 든 보살입상이, 왼쪽에 반가사유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형식이다. 7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조각의 대표적인 예이다. 본존상은 시무외·여원인의 입상으로 머리는 소발이고 얼굴은 네모나며 눈을 크게 뜨고 밝게 웃고 있다. 당당한 체구에 법의는 통견으로 입고 있다. 보주를 들고 있는 보살입상은 머리에 일월식이 있는 높은 보관을 쓰고 있다. 천의는 양팔에 걸쳐져 U자형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반가사유상도 높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상체는 벗었고 허리 아래에만 군의를 입고 있다. 삼존상은 모두 보주형의 두광을 갖고 있다. 대좌는 3상이 모두 단판연화좌이다.

마2.jpg

 

마9.jpg

 

마12.jpg

 

마13.jpg

 

미3.jpg

 

미11.jpg

태그

전체댓글 0

  • 1359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바위에서 핀 천년의 미소…그 미소가 여유롭구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